반응형
🚇 서울 청년교통비 지원카드 사용처 총정리 (기후동행카드 중심)
서울 거주 청년이라면 주목!
2024년부터 시행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민에게 월 65,000원만 내면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입니다.
특히 청년층은 카드사 할인 등으로 실질적인 교통비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✅ 1. 기후동행카드란?
서울시가 시행하는 대중교통 정기권 제도로, 하나의 카드로 서울의 버스, 지하철,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일반 요금: 65,000원 / 30일
- 청소년 요금: 41,000원
- 어린이 요금: 29,000원
🚏 2. 기후동행카드 사용처
다음 교통수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:
구분 | 사용 가능 여부 |
---|---|
서울 시내버스 | ✅ 사용 가능 |
서울 지하철 1~9호선 | ✅ 사용 가능 |
우이신설 경전철 | ✅ 사용 가능 |
신분당선 서울 구간 | ✅ 사용 가능 |
따릉이 (공공자전거) | ✅ 포함 |
광역버스 (경기도 포함) | ❌ 사용 불가 |
KTX, 공항버스 | ❌ 사용 불가 |
※ 서울 외 경계 지역 또는 광역노선은 적용 제외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.
📝 3. 기후동행카드 발급 방법
- 카드 구매:
- 실물: 지하철 역사, CU·GS25 편의점 등
- 모바일: 모바일티머니 앱 다운로드
- 카드 등록:
- 티머니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등록
- 본인 인증 및 카드 번호 입력
- 정기권 충전: 모바일/무인기 모두 가능
※ 반드시 '정기권'으로 충전해야 무제한 혜택이 적용됩니다!
💸 4. 지원 금액 및 충전 주기
정기권 가격 | 65,000원 (30일 기준) |
청년 추가 혜택 | 카드사 할인 이벤트, 포인트 적립 등 |
충전 주기 | 30일 |
충전 방법 | 모바일 앱 / 홈페이지 / 지하철 역사 |
※ 교통비가 많은 청년층에게 특히 유리합니다!
📍 5. 서울 중심 사용 가능 지역
- 사용 가능: 서울 전역의 지하철, 버스, 따릉이 등
- 제한 사항: 경기·인천 지역 연계 노선, GTX, 공항버스 등은 제외
서울 경계 내에서 출퇴근/등하교하는 청년에게 가장 효과적인 카드입니다.
💡 6. 활용 팁 & 주의사항
- 정기권 유효기간 관리 필수 (30일 단위)
- 모바일 카드 사용 시 더욱 편리
- 자동충전 설정 가능
- 카드 분실 시 빠르게 재등록 가능
- 대중교통 외 사용 불가 (편의점 등에서는 사용 안됨)
✨ 마무리
서울에 거주 중인 청년이라면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매달 수만 원의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.
출퇴근, 통학으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한다면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!
반응형